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625전쟁 원인과 사망자 알아보기

625전쟁 원인과 사망자 알아보기

 

625전쟁 :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자 한국은 일본의 불법 점령으로부터 해방됐어 그러나 카이로 회담에서 국가 독립이 약속돼 있었으나 북위 38선을 경계로 남북으로 미·소 양군이 분할 진주하면서 국토 분단이라는 비참한 운명에 놓이게 됐다. 8월 9일 뒤늦게 대일전에 참가한 소련군은 위장 관동군을 격파하고 파죽지세로 남하했으며, 8월 13일 25군단 일부가 청진에 상륙해 8월 22일 평양에 진주했다. 미군 24사단은 9월 8일에야 인천에 상륙해 다음날 서울로 진주했다. 미·소 양군의 한반도 진주 목적은, 일본군의 무장 해제 등 전후 처리에 있었다.


그러나 북한에 진주한 소련 군정당국은 남북간 왕래와 일체의 통신연락을 단절시킴으로써 38선을 남북간 정치적 경계선으로 만들고 공산화 통일이 보장되지 않는 어떠한 통일정부도 수립하지 않음으로써 한반도의 반영구적인 정치적 분단을 강요했다. 한반도에서의 지배권 강화를 목표로 하는 소련의 기도나 적대 정부의 출현만은 결코 반대하는 미국의 입장은 타협할 수 없었다. 따라서 한국의 통일독립 문제 해결은 매우 어려웠고, 이 문제 때문에 개최된 미소공동위원회도 결렬되고 말았다.

 

1947년 중반에 이르러 미국은 마침내 단일정부 수립과 신탁통치 실시를 전제로 한반도를 통일하려던 기존의 대한정책을 포기하고 분단의 고착화라는 기정사실에 입각하여 한반도의 세력균형을 보장하는 새로운 대안을 찾기에 이르렀어. 유엔은 1947년 제2차 총회에서 통일된 한국 정부 수립을 위한 총선거를 1948년 5월 31일 이전에 한반도 전역에서 실시하기로 결의하고 선거 감시를 위한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을 구성했습니다 그러나 유엔이 결의한 전국적인 범위에서 총선거는 1948년 1월 소련군 정당이 이를 거부하고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의 북한 지역 출입을 막으면서 좌절되었습니다 .


1948년 2월 26일, 국제연합 소총회는 ‘유엔의 감시가 가능한 지역에서의 선거 실시’를 결의했다. 이에 따라 1948년 5월 10일 38선 이남 지역에서 유엔 감시하의 자유총선거가 실시되어 제헌국회가 출범하였고, 1948년 8월 15일에는 대한민국 건국이 세계 만방에 선포되었다. 소련군의 비호 아래 북한 지역을 장악한 김일성 등 공산주의자들은 1948년 9월 9일 이른바 흑백선거에 의해 북한 지역에 독자적인 공산정권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선언했고 소련을 비롯한 공산국가의 승인을 받았다. 그러나 1948년 12월 12일, 제3차 국제연합총회는 대한민국 정부만이 ‘한반도에 존재하는 유일한 합법정부’(유엔총회 결의 195Ⅲ호)임을 결의하고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정부로 대한민국의 법통을 확인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6.25전쟁 (두산백과)

오늘은 한반도의 씻기 힘든 상처로 남게된 625 한국전쟁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에 시작된 작전 '폭풍 224'... 어떠한 선전포고도 없이 북한은 잠은 남한을 북위 38도선 전역을 걸쳐 무차별적 공격을 퍼붓기 시작했습니다. 크고 작은 군사적 충돌이 없진 않았지만 그 전쟁의 서막은 거대한 비극을 가져온 것이죠. 전쟁시작 3일만에 수도인 서울은 북한 인민군들에게 점령되었습니다.

 

625전쟁 원인은 서로가 생각했던 남진과 북진을 통한 하나로 합쳐진 한반도를 목표했겠지만, 그에 따른 크나큰 상처는 세상을 떠난 뒤에야 잊을 수 있을 것입니다.

 

확실한 승리를 가져가기 위했던 북한은 철두철미했습니다. 전쟁을 일으키기 1년전 남한에 주둔하던 미군들이 모두 철수하였고, 중국 전역은 공산당이 장악한 시점에다가 소련은 원자폭탄을 개발하던 시점이였기에 최적의 국제정세가 북한에게 희망을 주었던 것이죠.

 

한국전쟁이 발발한 초기에는 북한의 일방적인 승리가 이어졌지만 북한이 예상하지 못했던 미 공군이 이틀만에 전쟁에 투입되었으며, 16개국이 참여한 유엔 국제 연합군도 전쟁에 뛰어들었습니다.

 

625전쟁 발발 이후 1년이 지나서야 전선은 초기의 남북상태로 돌아왔습니다. 의미없는 전쟁을 이어가도 더 이상 어느 한쪽이 승리를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있었지만 남북의 지원군으로 전쟁에 참여한 미ㆍ중ㆍ소는 종전을 반대하지 않았습니다.

 

상황은 힘이 있던 지원국가들의 생각과는 다르게 흘러가 다시금 북한군에게 서울을 빼았기는 상황까지 가게되었고, 인천상륙작전을 성공했지만 중국의 지원군으로 인해 다시금 좋지 못한 상황에 놓인 맥아더 장군은 핵무기 사용까지 언급하게 됩니다. 허나 비인류적인 무기를 통해 무력으로 종전을 하는 것을 미국의 트루먼 대통령은 반대하였고, 리지웨이 장군을 사령관으로 임명하게 됩니다.

 

그는 종전을 위해 북한과의 휴전을 제안했지만 오히려 남한측에서 한반도 전체 통일을 주장하며 반대하였고, 결과적으로는 유엔군, 중국군, 북한군 대표들이 판문점에서 모여 휴전 협정을 맺고 1953년 7월 27일에 전쟁은 중단됩니다.

 

3년 가까이 진행된 625전쟁으로 인하여 남측과 북측의 부상 및 사상자, 행방불명이 된 사람들은 500만명이 넘는다고 합니다. 그 뿐만 아니라 양측은 민주주의 실현과 더욱 멀어지게 되었으며, 독재자 이승만의 강제 개헌을 통해 온 국민들을 공포로 몰아넣게 됩니다. 북측은 김일성의 권력이 더욱 강화되며 남로당 출신 간부들이 대다수 처형 되었죠.

가슴 깊이 새겨진 한국전쟁의 아픔, 저도 글을 작성하면서 마음이 아리더라구요. 다시는 이러한 비극적인 사건들이 일어나지 않길바랍니다.